닫기

이수혁 주미대사 “트럼프, 신세계 질서 형성에 한국 참여 초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4u.asiatoday.co.kr/kn/view.php?key=20200604010002366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0. 06. 04. 05:52

이수혁 "트럼프 대통령, G12 체제 구상에 한국 초청...'새로운 세계 질서 참여 초대장"
"한국, 국제 위상 변화...미·중 갈등서 '양자택일' 강요받지 않고 국익 우선 선택"
이수혁 대사
이수혁 주미 한국대사는 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G12로 확대하는 구상에 한국을 초대한 것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세계 질서를 형성·관리하는 데 참여할 수 있는 초대장’이라고 규정했다. 사진은 이 대사가 2월 26일 워싱턴 D.C. 한국문화원에서 특파원 간담회를 하는 모습./사진=워싱턴 D.C.=하만주 특파원
이수혁 주미 한국대사는 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G12로 확대하는 구상에 한국을 초대한 것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세계 질서를 형성·관리하는 데 참여할 수 있는 초대장’이라고 규정했다.

이 대사는 이날 워싱턴 D.C. 한국대사관에서 화상으로 진행한 특파원 간담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기존 G7 체제를 G11이나 G12로 확대하자면서 우리나라를 초대했다면서 이는 세계 질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한 측면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 이수혁 “트럼프 대통령, G12 체제 구상에 한국 초청...‘새로운 세계 질서 참여 초대장”

이 대사는 “만일 G11 또는 G12 정상회의가 성사된다면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질서를 구성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코로나 사태가 국제 질서 변화에 미칠 영향, 특히 미측이 기존 질서에 대해 취할 모종의 조치를 예의주시해왔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가 코로나 이후 질서 변화의 단초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관련 발표 이후 미 국무부와 백악관 등에 전화를 걸어 상황을 공유했는데, 미국 측도 보도를 접하지 못했다거나 내용을 알지 못한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이번 발표가 트럼프 대통령이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 구상으로 다른 G7 회원국이 반대한다고 해서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으로 풀이된다.

이수혁 대사
이수혁 주미 한국대사가 3일(현지시간) 워싱턴 D.C. 한국대사관에서 화상으로 진행된 특파원 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화상 간담회 캡처
◇ 이수혁 “한국, 국제 위상 변화...미·중 갈등서 ‘양자택일’ 강요받지 않고 국익 우선 선택”

이 대사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한국의 변화된 위상을 거론하면서 미·중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이 ‘양자택일’의 선택을 강요받는 게 아니라 국익에 따라 선택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사는 “과거 국제 질서 체제가 변곡점을 맞이할 때마다 여러 대내외 제약들로 인해 변화를 주도하기보다 이에 적응 또는 순응하는데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 쏟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 현실”이라며 “하지만 이제 우리 외교는 세계 질서 변화를 더 적극적으로 주도하고 그 속에서 우리의 국익과 국격의 극대화를 전략적으로 도모할 만큼 충분히 성장했다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이 대사는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한·미가 기존 공조 분야에 더해 공중보건까지 협력의 외연을 넓혀나가고 있는 것은 동맹 강화의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K 방역’에 대한 높은 평가로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음을 몸소 느낀다고 말했다.

이 대사는 코로나19 발생과 대유행에 대한 중국 책임론,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강행 등으로 미·중 간 갈등이 격화되면서 한국이 ‘양자택일’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분석에 대해 “우리의 모범적인 코로나 대응은 변화하는 미국과 중국 간 역학 구도에서 한국이 나아갈 방향성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며 “일각에서 우리가 미국과 중국 사이에 끼어서 선택을 강요받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기도 하지만, 우리가 선택을 강요받는 국가가 아니라 이제는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국가라는 자부심을 갖는다”고 말했다.

이어 “포스트 코로나19 사태의 새로운 국제 질서 향배에 있어 미·중 간 경쟁이 큰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됨은 자명하다”며 “우리 스스로 양국택일의 상황에 빠질 것이라는 과거 자기 예언적 프레임에 자신의 행동과 사고를 가둘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그랬던 것처럼 민주주의·시민참여·인권·개방성을 토대로 사안마다 국익에 맞는 판단을 내리는 가운데 지혜롭게 풀어간다면 여러 주요 국제 현안과 우리의 가장 큰 관심 사안에 있어 우리의 외교적 활동공간을 높여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