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우크라 반격 최대 발목 역대급 지뢰밭...윤 대통령, 지뢰 제거 장비 지원 약속 배경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4u.asiatoday.co.kr/kn/view.php?key=20230717010008992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3. 07. 17. 06:29

NYT "우크라 반격 최대 발목, 러 지뢰"
"피투성이 사지, 소름끼치는 장면...지뢰 종류 수십개"
"우크라군 반격 첫 2주, 무기 20% 손실"
윤 대통령, 지뢰 제거 장비 지원 약속
미 "집속탄 투입시 반격 가속도"
지뢰지대 개척하는 장애물제거 장비
6월 15일 경기도 포천 승진훈련장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관으로 실시된 '2023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에서 MICLIC(지뢰 등 장애물 제거 장비)가 지뢰지대를 개척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5주가 지난 우크라이나의 반격 작전이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최대 원인은 러시아의 지뢰라고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우크라이나 남부의 한 들판에서 러시아 지뢰가 연이어 폭발하면서 피투성이가 된 사지와 구겨진 차량이 소름 끼치는 장면을 연출했다며 반격 작전에 나선 우크라이나군이 건너야 하는 들판에는 플라스틱과 금속으로 만들어져 껌이나 음료수 캔처럼 생겼으며 '마녀' '나뭇잎' 등 다양한 이름을 가진 수십 종류의 지뢰가 산재해 있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군이 공군 지원 부족과 러시아군이 구축한 강력한 방어 구조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반격 개시 후 불과 몇 마일 지점에서 수렁에 빠진 것은 지뢰·덫 철사·부비트랩(위장 폭탄)·급조 폭발 장치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지뢰는 오랫동안 러시아군 전쟁 수행에 주력으로 아프가니스탄·체첸, 그리고 2014년 크림반도 점령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됐지만 우크라이나 남부의 지뢰밭은 이전에 알려진 이상으로 광대하고 복잡하다고 지뢰밭에 들어갔던 우크라이나 병사가 말했다고 NYT는 전했다. 우크라이나군도 지난해 2월 24일 진격하는 러시아군을 막기 위해 대전차 지뢰를 광범위하게 설치했다.

성소피아성당에서 대화하는 윤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
우크라이나를 전격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의 성소피아 성당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반갑게 인사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도 전날 느린 지뢰 제거 작업이 우크라이나 대반격의 발목을 잡고 있으며, 최전방의 우크라이나 공병들이 실제로 지뢰밭을 기어 다니며 러시아가 설치한 막대한 양의 지뢰 제거 작업을 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라고 보도했다.

러시아군의 주요 거점 앞 5∼16㎞ 지역에 대전차·대인 지뢰와 인계철선이 빽빽하게 설치돼 우크라이나군이 독일제 주력 탱크 레오파르트2, 미국제 M2 브래들리 장갑차 등 서방이 지원한 보병전투차량(IFV)과 전투 탱크로 진격하는 대신에 병사들이 천천히 걸어서 이동하게 됐다고 WP는 전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5일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에게 감사의 뜻을 표시하면서 한국이 생명을 구하는 데 필요한 차량과 지뢰 제거 장비를 제공하기로 한 것을 높이 평가한 것도 이 같은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 같은 러시아군의 지뢰 등 때문에 우크라이나군이 반격을 시작한 첫 2주 동안 서방이 지원한 탱크와 장갑차 등 우크라이나군의 무기 20%가 손상되거나 파괴됐다고 NYT가 미국과 유럽 관리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군이 전술을 변경, 지뢰밭으로 돌진해 사격을 가하는 것보다 포병과 장거리 미사일로 러시아군을 제압하는 데 더 중점을 두는 등 일부 개선이 이뤄졌다.

이후 수주 동안 무기 손실률이 약 10%로 하락, 우크라이나군이 향후 대규모 공세에 필요한 병력과 장비를 더 많이 확보했다고 이 관리들이 밝혔다.

미국 관리들은 우크라이나군의 반격 작전이 일시 중단됐었지만 지금은 재개됐다며 미국의 집속탄이 투입되면 반격 속도가 빨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NYT는 전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