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北 도발 전초전’...G7 앞두고 서해위성발사 공사재개 (종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4u.asiatoday.co.kr/kn/view.php?key=20230515010007752

글자크기

닫기

박영훈 기자

승인 : 2023. 05. 15. 11:04

美전략자산 전개·G7회의 맞춰 도발 재개 가능성
북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13일 공화국전략무력의 전망적인 핵심주력수단으로, 중대한 전쟁억제력의 사명을 수행하게 될 새형의 대륙간탄도미싸일(미사일) '화성포-18' 형 시험발사가 단행되였다"고 지난달 14일 보도했다./연합
아시아투데이 박영훈 기자 =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부근에서 위성발사 준비를 위한 건설 재개 정황이 포착됐다. 이번 주 있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기간을 겨냥해 도발을 재개할 것으로 관측된다.

15일 북한전문매체 38노스에 따르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일대를 촬영한 지난 12일자 위성사진을 인용하며 "지난 2주 사이 발사대 공사가 빠르게 진척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사진엔 연료·산화제 탱크, 레일형 운송 패널, 새로운 발사대 원형판 등 발사대 부품들이 작년 가을 이후 자취를 감췄고, 겐트리 타워(발사대) 근처엔 약 90m 높이의 새 타워크레인이 설치됐다.

다만, 발사체 운반에 쓰이는 레일형 운송 구조물은 기존 32m 높이로 재조립되고 있다고 전했다. 해당 규모는 수직으로 놓은 은하-3호와 비슷한 위성발사체(SLV)를 발사대로 옮길 수 있다.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18일 국가우주개발국 방문 이후 잠적을 감췄다. 당시 김 위원장은 군사 정찰위성을 놓고 "계획된 시일내 발사하라"고 지시 했지만, 27일이 지난 현재까지 아무 일도 발생하지 않았다.

ㅇㅇ
북한 조선중앙TV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13일 공화국전략무력의 전망적인 핵심주력수단으로, 중대한 전쟁억제력의 사명을 수행하게 될 새형의 대륙간탄도미싸일(미사일) '화성포-18' 형 시험발사가 단행되였다"며 지난달 14일 영상을 공개했다./연합
이런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26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북한 확장 억제 의지를 담은 '워싱턴 선언'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또 한미 간 핵협의그룹(NCG)에 일본 참여 가능성도 열며 향후 높은 수위의 한미일 공조를 예고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달 29일 '워싱턴 선언'을 겨냥, "결정적인 행동에 임해야 할 환경"이 조성됐다고 주장했다. '워싱턴 선언'이 실제 행동으로 옮겨질 때 도발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김여정 담화는 한미가 합의한 전략핵잠수함(SSBN) 기항이나 전략자산 전개 맞대응 하겠단 의지로 비춰진다"고 말했다.

홍 실장은 또 오는 19∼21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기간 열리는 한미일 정상회담에 맞춰 발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G7 3자회담 내용에는 중국과 러시아를 언급할 가능성이 크다"며 "G7 결과에 맞춰 행동에 옮길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북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13일 공화국전략무력의 전망적인 핵심주력수단으로, 중대한 전쟁억제력의 사명을 수행하게 될 새형의 대륙간탄도미싸일(미사일) '화성포-18' 형 시험발사가 단행되였다"고 지난달 14일 보도했다
일각에선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오는 25일부터 다음 달 15일까지 사상 최대규모로 진행되는 한미 연합·합동화력격멸훈련을 빌미로 미사일 도발 재개를 이어 갈 예정으로 관측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총장은 "북한이 최근 농업·건설 등 경제 분야에 집중하면서 정치·외교·군사적으로 최대 효과를 낼 시점을 모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 북한이 '전승절'로 기념하는 정전협정 체결일(7월27일)을 계기로 대형 도발에 나설 가능성도 남아있다. 특히 올해는 북한이 중시하는 정주년(5·10년 단위로 꺾어지는 해)으로 대규모 행사가 열릴 전망이다.

박영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