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내 증시 활성화, 신규 상장·상장 유지 기준 개선 등 질적 제고에 달렸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4u.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203010001678

글자크기

닫기

김한슬 기자

승인 : 2024. 12. 04. 06:00

한경협, '일본 증시 재편 전략과 시사점' 보고서 발표
그래픽
일본 신규상장·상장폐지 현황 (단위 : 개사)/니혼게이자이신문, 도쿄증권거래소, 月刊 資本市場(2022.3)
"일본은 증권 시장 개편을 실시하며 우선적으로 신규 상장·상장 유지 요건을 개선해 시장의 신뢰 구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 뒤 자본비용·주가를 의식한 자율적 경영 공시제도(우리나라 밸류업 공시와 유사한 제도)를 도입했다."

한국 주식시장의 체질 개선을 위해서는 이처럼 신규 상장·상장 유지 기준 등을 강화해 시장의 질적 성장을 이끌어 낸 일본 증시 전략을 적극적으로 들여다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일 한국경제인협회가 법무법인 광장 김수연 박사에게 의뢰해 발표한 '일본 증시 재편 전략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김 박사는 "시장의 근본적인 개선 없이 밸류업 공시, 지수개발 등 정책을 추진하는 우리의 접근 방법과 차이 나는 부분이 바로 이 지점"이라며 국내 증시 활성화의 핵심은 '시장의 질적 성장'에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쿄증권거래소는 2022년 4월, 상장기업별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 5개 시장을 '프라임·스탠다드·그로스'의 3개 시장으로 개편했다.
프라임 시장은 '글로벌 투자자와의 대화를 중시하는 최상위 시장'이라는 특징에 맞춰 상장·유지 기준을 기존 대비 강화했다.

프라임 시장은 상장 유지 조건으로 △유동주식 시가총액 100억 엔(932억 원) 이상 △유동주식 비율 35% 이상을 요구한다. 신규상장 시 수익 기반 충실의 관점에서 과거 2년간 이익 합계가 25억 엔(233억 원) 이상 또는 △매출 100억 엔(932억 원)이면서 △시가총액 1000억 엔(9319억6000만원) 이상 기준을 추가했다.

스탠다드 시장은 내수시장으로 '투자 대상이 되기에 충분한 유동성과 지배구조 수준을 보유한 기업 시장'으로 , 그로스 시장은 스타트업 기업을 타겟으로 한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진 기업 시장'으로 정의하였다. 이들 시장도 각 목표를 달성하기에 합당한 상장·유지 기준을 설정했다.

이후 도쿄증권거래소는 2023년 1월, 상장유지 요건 미달 기업에 대해 예외적으로 상장유지를 허용하였던 조치를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2026년 3월까지 강화된 상장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해당 회사의 주식을 감리종목으로 지정한 후 6개월 이내 상장을 폐지한다는 내용이다.

보고서는 강화된 상장기준으로 신규상장 수가 크게 줄어들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2024년 10월 기준, 신규상장은 60개 사인 반면, 상장폐지 회사는 82개로 2015년 이후 최초로 신규상장 회사와 상장폐지 회사의 수가 역전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2차 개편이 시작된 초기인 2022년 7월과 2024년 4월의 프라임·스탠다드 시장의 시가총액을 비교한 결과, 약 21개월 동안 양 시장의 시총이 크게 증가했다. 프라임 시장 시총 중앙값은 2022년 7월, 573억 엔(5340억1000만 원)에서 2024년 4월, 960억 엔(8946억8000만원), 스탠다드 시장은 2022년 7월, 62억 엔(577억8000만원)에서 2024년 4월, 82억 엔(764억2000만원)으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프라임 시장에 상장된 기업 수는 186개 감소했다. 시가총액 구간별로 살펴보면 1000억 엔(9319억6000만원) 이상의 상장기업은 125개 사 증가한 반면, 시총 1000억 엔 미만임에도 프라임 시장에 상장되었던 311개 기업은 상장 폐지됐거나, 스탠다드·그로스 시장으로 이전 상장됐다.

보고서는 이는 기존에 프라임 시장으로 과도하게 유입된 기업들이 스탠다드·그로스 시장으로 이동하면서 일본거래소그룹(JPX)이 의도한 시장별 질적 성장이 이뤄졌음을 시사한다고 해석했다. 일본 증시를 선도하는 프라임 시장이 '양질의 기업' 위주로 개편되면서, 기업 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체 시가총액이 늘어나는 성공을 거뒀다는 평가다.
김한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